등록기준지 필수정보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등록기준지는 과거 호적법이 폐지되어 대체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는 용어입니다. 이는 가족관계를 등록하거나 비송사건 등의 관할법원 결정 기준 등 기존의 호적과 비슷한 기능을 하기 위해 생겨난 주소입니다.
따라서 호적 개념을 확인하고 싶다면 등록기준지에서 본적을 확인하면 되는 것이죠. 게다가 등록기준지는 부모에 따라 출생지역으로 등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일 등록하지 않았다면 아버지 혹은 어머니 등록기준지에 맞추어 설정된다고 합니다. 그러니 한 번 본인의 등록기준지를 확인하는 거도 좋죠.
등록기준지는 조회뿐만 아니라 변경하는 방법 또한 중요합니다. 이는 증명발급서 등의 기재사항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만약 증명서를 신청했는데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등록기준지 및 이름을 알아야 증명서 발급이 수월하죠. 여기서 주의해야 하는 점은 만일 등록기준지 기재가 틀리다면 증명서 발급이 안 되는 점이니 꼭 알아 두세요.
등록기준지
등록기준지 - 조회
그렇다면 등록기준지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호적법이 2008년에 폐지됨에 따라 이후 등록기준지 변경이 자유로워졌습니다. 즉 가족과 동일한 등록기준지를 가질 필요 없게 되었습니다.
또한 출생 신고 경우 신고인에 따라 등록기준지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등록기준지 메인화면
① 일단 가장 먼저 전자 가족관계 등록시스템 사이트를 접속합니다. 이 곳에서 가족관계 등록부 발급을 찾아 눌러 줍니다.
등록기준지 이용약관
② 그러면 본인 확인을 위한 입력란이 뜨는데 이 곳에서 성명 및 주민 등록번호를 입력한 후 동의 체크 및 조회 버튼을 눌러 줍니다.
등록기준지 공인인증서
③ 본인인증 목적으로 공인인증서가 따로 필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사전에 준비해주세요.
등록기준지 추가정보
④ 본인 확인을 위한 추가 정보 입력을 해야 합니다. 모두 입력할 필요는 없고 5가지 중 한 가지만 입력하면 됩니다.
- 부 성명
- 모 성명
- 배우자 성명
- 자녀 성명
- 등록 기준지
등록기준지 본인과의 관계
⑤ 그렇다면 이제 본인과의 관계 중 등록기준지 조회를 하고 싶은 사람은 선택하면 됩니다.
등록기준지 증명서
⑥ 여기서 기본증명서 및 가족관계 증명서를 체크하면 되는데요. 신청사유 선택 시 본인 확인용 혹은 금융기관 제출용 중 선택하면 됩니다. 모든 체크가 완료됐다면 발급 신청을 눌러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