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미수금 대해서 알기 전에 예수금 및 증거금 대한 정의도 알아야 합니다. 이는 증권사 계좌 거래 시에 매수 혹은 매도 할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용어를 모른다면 손해를 볼 수 있으며 특히 미수금이 발생하는 때가 위험합니다. 따라서 주식 투자를 한다면 반드시 알아야 하겠죠.
항상 강조하는 내용이지만 주식 투자는 도박이 아니라 분석과 연구입니다. 그래서 기본적인 내용은 꼭 알아야 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정의에 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거래때 알고 있어야 하는 개념이 바로 3영업일 결제 시스템 입니다. 매매가 이뤄지면 바로 금액이 빠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초보분들이 많이 헷갈려 하죠.
[주식 꿀팁] - 주식배당금 지급일 조회 어떻게 해야 할까
기존에 쓴 포스팅 요약하자면 계좌에 있는 예수금에서 증거금이 우선 차감됩니다. 이는 증거금률에 응하는 만큼 빠져 나가게 되는데, 만일 10만원 주식을 사고 증거금률이 30%라고 한다면 3만원이 증거금으로 빠지고 나머지 7만원은 3영업일이 지나고 빠져나가는 것이죠.
주식 증거금률 경우 종목마다 다르며 우량 할수록 낮고 부실 할수록 높습니다.
결국 미리 당겨 빌리는 개념으로 볼 수 있는 것이죠. 따라서 증거금 말고 매매대금이 D+2일 지나면 예수금에서 빠져 나갑니다. 따라서 미수금 이상으로 금액을 채워야 합니다.
혹시 제때 입금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미수금만큼 증권사에서 본인이 소유한 주식을 강제로 판매합니다. 이를 반대매매라고 부르는데 시세, 상황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팔아버리는 것이죠. 현금확보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시세보다 싸게 파는데 하락세라면 손실이 어마어마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3영업일 시스템과 미수금 개념을 알고 있어야 반대매매라는 불상사를 막을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증권사에서 주식 미수금 사전 방지를 위해 따로 가이드를 제공하는 실정입니다.
여기서 3일되는 날까지 미수금을 변제하지 않는다면 반대매매가 발생하여 본인이 소유한 종목이 마구잡이로 팔리게 됩니다. 그리고 1개월간 미수동결계좌가 되고 증거금률이 100%로 반영하여 자본을 유동적으로 활용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러므로 미수금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 겁니다.
주식 공부
[주식 꿀팁] - 주식을 한다면 확증 편향 피해야 수익이 발생 합니다
[주식 꿀팁] - 공매도 상환기간 확인하면 뭐가 좋을까
본문과 관련 있는 내용으로 댓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